농업정보실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하는 순천시 농업기술센터

기술정보

기술정보 조회
인공수정 기술로 우량 뒤영벌 육성한다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작성일2018-05-23 조회수235
- 인공 수정률·산란율 높아져... 토종 뒤영벌 육성도 기대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인공수정 기술로 우량 계통의 뒤영벌을 육성해 보급한다.

뒤영벌은 꿀을 생산하지 않는 꽃가루 수정용 벌로, 1993년 2,300통을 처음 수입해 활용했다. 농촌진흥청은 뒤영벌 사육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이전해 2016년 기준 12만 통을 토마토 등 작물 수정에 활용해왔다.

꿀벌의 인공수정 기술은 세계적으로 확립, 보급돼 꿀벌 육종에 쓰이고 있으나, 뒤영벌은 아직 인공수정 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우수 뒤영벌 계통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돼 왔다.

뒤영벌은 꿀벌에 비해 정자 수가 1/10 수준으로 적고 채취가 어렵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복부를 압박해 손쉽게 수벌의 정자를 채취하는 방법을 개발해 활용하고 있다.

또, 꿀벌의 여왕벌보다 큰 뒤영벌의 여왕벌에 맞는 벌림훅과 고정훅, 탐침기 등을 갖춘 뒤영벌 인공수정기도 개발했다.

이 기술과 인공수정기를 활용했더니 인공수정률은 98%, 여왕벌의 산란율도 50%~68%에 달했다(자연교미 57%~93%).

농촌진흥청은 뒤영벌 인공수정 기술을 산업체에 기술 이전할 예정이며, 신속한 농가 보급을 위해 뒤영벌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육종가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윤형주 농업연구관은 “뒤영벌 인공수정 기술 개발로 서양의 뒤영벌뿐만 아니라 토종뒤영벌의 우량종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이를 통해 작물 수정에 들이는 비용과 노동력을 줄여 농가 소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곤충산업과장 남성희, 곤충산업과 윤형주 063-238-2955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결과보기

콘텐츠 담당부서 :
농업정책과
전화 :/
061-749-8677
콘텐츠 최종 수정일 : /
2018-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