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기업지원포털에서
기업지원정보를 확인하세요
SUNCHEON BUSINESS SUPPORT PORTAL
보도자료 조회
[산업통상자원부]2025년 7월 수출입 동향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5-08-04 조회수55

- 7월 수출 플러스·무역수지 흑자…2개월 연속 월 기준 수출 최대치 경신

- 반도체 수출 7월 중 최대실적 기록…자동차 수출도 2개월 연속 증가

 

* 7월 수출 608.2억 달러(+5.9%), 수입 542.1억 달러(+0.7%), 수지 66.1억 달러 흑자

 

총괄】‘25.7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608.2억 달러, 수입은0.7% 증가한 542.1억 달러, 무역수지는 66.1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7월 수출은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인 608.2억 달러(+5.9%)를 기록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5.9% 증가한 24.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25년 수출 추이(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역대 7월 순위 : 1위608(‘25) → 2위602(’22)
1월492(△10.1)→2월523(+0.4)→3월581(+2.8)→4월581(+3.5)→5월572(△1.3)→6월598(+4.3)→7608(+5.9)

 

* ’25년 일평균 수출 추이(억 달러, %):
1월24.6(+7.9)→2월23.8(△6.4)→3월26.4(+5.1)→4월24.2(△0.8)→5월26.6(+1.0)→6월28.5(+6.8)→724.3(+5.9)

 

품목】7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3개 품목 수출이증가하였다.

 

* ‘25년 7월 증가품목 수출·증감률(억 달러, %):
반도체147.1(+31.6), 자동차58.3(+8.8), 선박22.4(+107.6)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94.7억 달러, +39.3%)를 중심으로 고정가격 상승 흐름과 HBM·DDR5 등 고부가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역대7월 중 최대실적인 147.1억 달러(+31.6%)를 기록하였다.

 

* ‘25년 반도체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1월101(+8.1)→2월96(△3.0)→3월131(+11.9)→4월117(+17.2)→5월138(+21.2)→6월150(+11.6)→7월147(+31.6)

 

* 메모리 반도체 가격 추이(’25.1→7월, $): (DDR48Gb)1.4→1.4→1.4→1.7→2.1→2.6→3.9,
(DDR516Gb)3.7→3.8→4.2→4.6→4.8→5.1→5.3, (NAND128Gb)2.2→2.3→2.5→2.8→2.9→3.1→3.4

 

자동차 수출은 EU·CIS·중남미 등 미국 외 주요 시장에서호실적을 보이는가운데, 하이브리드차·내연기관차가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8.8%증가한 58.3억 달러를 기록, 2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 ’25년 자동차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1월50(△19.6)→2월61(+17.7)→3월62(+1.0)→4월65(△3.7)→5월62(△4.5)→6월63(+2.3)→758(+8.8)

 

* ‘25.7월 차 유형별 수출·증감률(억 달러, %): 하이브리드14(+20.3), 내연37(+7.3), 순수전기7(△4.1)

 

선박 수출은 탱커·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물량이 확대되면서 107.6% 증가한 22.4억 달러를 기록 5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석유제품(42.1억 달러, △6.3%)과 석유화학(37.5억 달러, △10.1%)수출은 저유가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제품가격이 하락하면서 감소 흐름을 지속하였다.

 

한편, 15대 주력품목 외 수출은 142.0억 달러(+7.6%)를 기록하면서 사상 첫140억 달러대를 기록하였다. 특히, 농수산식품(10.8억 달러, +3.8%),화장품(9.8억 달러, +18.1%), 전기기기(15.6억 달러, +19.2%)등 수출은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2월부터 6개월 연속 월별 1위 실적을 경신하였다.

 

지역】7월에는 9대 주요 지역 중 6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하였다.

 

* ‘25년 7월 증가지역 수출·증감률(억 달러, %):
아세안109.1(+10.1),미국103.3(+1.4),EU60.3(+8.7),중남미26.8(+4.4),인도17.9(+10.7),CIS12.2(+21.5)

 

7월 최대 수출시장인 대(對)중국 수출은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화학 및 무선통신기기 수출 둔화로 3.0% 감소한 110.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아세안 수출은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1.5배 수준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10.1% 증가한 109.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미국 수출은 철강·차부품 등 다수 품목의 감소에도 반도체·무선통신기기 등 IT 품목과 화장품·전기기기 등 15대 외 품목 호조세로 1.4% 증가한 103.3억 달러를 기록, 중국·아세안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실적을 나타냈다.

 

대EU 수출은 자동차, 선박, 석유제품 등 다수의 주요 품목에서 증가세를 보이면서 8.7% 증가한 60.3억 달러를 기록, 5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아울러 대CIS(12.2억 달러, +21.5%)수출은 5개월, 대중남미(26.8억 달러, +4.4%)및 대인도(17.9억 달러, +10.7%)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한편 9대 주요 지역 외에도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주요 수출국인 대만으로의수출은 반도체 수출이 두 배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는 68.0% 증가한 46.6억 달러를 기록, 역대 7월 중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수입】7월 수입은 0.7% 증가한 542.1억 달러로, 에너지 수입(96.7억 달러)은11.3% 감소하였으나, 에너지 외 수입(445.5억 달러)은 3.7% 증가하였다.

 

수지】7월 무역수지는 수출(+33.6억 달러)이 수입(+3.7억 달러)대비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29.9억 달러 증가한 66.1억 달러 흑자를 기록, 7월 기준으로 ’18년(68.9억 달러)이후 최대 흑자 규모를 보였다.

 

평가 및 정책방향】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월은 미측의 관세부과 예고 시점(8.1일)을앞두고 우리 수출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었음에도, 우리 기업들이 총력을 다해 수출 활동에 매진한 결과 6월에이어 2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김 장관은 “대미 협상 결과, 관세가 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으로 타결되면서 수출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수출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고 하면서, “정부는 우리 수출기업이 과거와는 다른 도전적인 교역환경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고 시장을 다변화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콘텐츠 담당부서 :
신성장산업과
전화 :/
061-749-3011
콘텐츠 최종 수정일 : /
2024-11-27